본문 바로가기
Daily/뉴스 스크랩

[뉴스스크랩] 20대 신용대출 연체율 1년새 2배로 껑충…전 연령대 중 '최고'

by HANNI하니 2023. 9. 13.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기사링크)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91116371343437

 

20대 신용대출 연체율 1년새 2배로 껑충…전 연령대 중 '최고' - 아시아경제

빚투(빚내서 투자) 실패를 비롯해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빚을 갚지 못하는 청년층이 늘고 있다. 20대 이하 신용대출 연체율이 1%를 넘어서면서 전 연령대에서...

www.asiae.co.kr

 

본문 수치화, 인사이트

20대 신용대출 연체율 1년새 2배로 껑충…전 연령대 중 '최고'

아시아경제 부애리기자

6월말 기준 20대 이하 연체율 1.4% 기록
30대도 0.6% 기록하며 전년比 2배로

빚투(빚내서 투자) 실패를 비롯해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빚을 갚지 못하는 청년층이 늘고 있다. 20대 이하 신용대출 연체율이 1%를 넘어서면서 전 연령대에서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시아경제가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19개 국내은행 연령대별 신용대출 연체율' 자료에 따르면 20대 이하 연체율은 지난 6월 말 기준 1.4%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0.7%)대비 0.7%포인트 올라 2배로 급등한 수치다. 이는 2018년 3분기 이후 약 5년 만에 최고치다. 1%를 밑돌던 20대 이하 연체율은 지난해 말 처음으로 1%를 넘어섰고, 올해 3월 말 1.3%를 기록한 데 이어, 6월 말 기준 1%대 중반에 올라섰다.

 

전체 신용대출 연체율도 0.6%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0.3%) 대비 2배로 올랐다. 연령대별 신용대출 연체율을 살펴보면 30대의 경우에도 0.6%로 전년 동기(0.3%)대비 2배로 상승했다. 40대와 50대의 연체율은 각각 0.5%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2%포인트씩 올랐다. 60세 이상의 경우 지난해 6월 말 기준 0.5%였던 신용대출 연체율이 올해 6월 말에는 0.8%로 0.3%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신용대출 차주 수는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지만, 20대와 60세 이상 차주는 늘어났다. 전체 신용대출 차주 수는 지난 6월 말 기준 688만6815명으로 지난해 6월(691만2326명) 대비 2만5511명이 감소했지만, 20대의 경우 오히려 같은 기간 61만474명에서 69만1948명으로 8만명 이상 불어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지난 6월 말 기준 신용대출 차주 수는 40대가 205만8655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164만8597명), 50대(161만4285명), 60세 이상(87만3330명) 순이었다.

 

지난 6월 말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163조8000억원으로 전년 6월(184조4000억원) 대비 20조6000억원이 감소했다. 20대 신용대출 잔액은 7조5000억원 규모로 전체에서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했다. 신용대출 잔액 역시 40대가 59조4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43조9000억원, 30대 40조9000억원, 60세 이상 12조원 순이었다.

 

금융권에서는 20·30대 신용대출 연체율이 높은 것이 소득 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데다가 최근 신용대출을 통해 레버리지 투자에 뛰어든 청년층이 많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증권시장 상황이 생각보다 좋아지지 않은 데다가 청년층의 경우 소득 여력이 중장년층과 비교해 떨어지고, 고금리 상황도 맞물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행도 지난 6월 공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 대출 중 30대 이하 차주의 가계 대출 비중이 과거에 비해 높은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이들의 소득 기반이 취약한 만큼, 30대 이하를 중심으로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 대출의 연체율이 예상보다 높게 상승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홍 의원은 "돈을 20대를 저축하던 세대에서 빚내는 세대로 변화시킨 구조적 현상의 결과물"이라며 "또 청년뿐 아니라 고령층의 위기도 주목해야 한다. 노인빈곤율 1위 대한민국이 '준비 안 된 고령화'에 직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사내용 수치화, 인사이트

1. '19개 국내은행 연령대별 신용대출 연체율' 자료

20대 이하 연체율 = 지난 6월 말 기준 1.4%를 기록 (전년 동기(0.7%)대비 0.7%포인트 올라 2배 급등)

2018년 3분기 이후 약 5년 만에 최고치다

1%를 밑돌던 20대 이하 연체율은 지난해 말 처음으로 1%를 넘어섰고, 올해 3월 말 1.3%를 기록한 데 이어, 6월 말 기준 1%대 중반에 올라섰다.

 

전체 신용대출 연체율 = 0.6% (전년 동기(0.3%) 대비 2배 상승)

30대 =  0.6% (전년 동기(0.3%)대비 2배 상승)

40대 = 0.5% (전년 동기 대비 0.2%포인트 상승)

50대 = 0.5% (전년 동기 대비 0.2%포인트 상승)

60세 이상 = 0.8% (전년 동기 대비 0.3%포인트 상승)

 

2. 2030 연체율 상승 원인 ?? 

1. 20대 소득 여력 부족 & 고금리 상황

금융권에서는 20·30대 신용대출 연체율이 높은 것이 소득 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데다가 최근 신용대출을 통해 레버리지 투자에 뛰어든 청년층이 많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증권시장 상황이 생각보다 좋아지지 않은 데다가 청년층의 경우 소득 여력이 중장년층과 비교해 떨어지고, 고금리 상황도 맞물린 것

 

2.30대 이하 차주의 가계 대출 비중 높다

(한국은행 금융안정 보고서)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 대출 중 30대 이하 차주의 가계 대출 비중이 과거에 비해 높은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소득 기반이 취약한 만큼, 30대 이하를 중심으로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 대출의 연체율이 예상보다 높게 상승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

 

전체 신용대출 차주 수는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지만, 20대와 60세 이상 차주는 늘어났다. 

전체 신용대출 차주 수 = 지난 6월 말 기준 688만6815명으로 지난해 6월(691만2326명) 대비 2만5511명이 감소

20대 = 오히려 61만474명에서 69만1948명으로 8만명 이상 불어났다.

40대(205만8655명)으로 가장 많았고 > 30대(164만8597명) > 50대(161만4285명) > 60세 이상(87만3330명)

 

전체 신용대출 잔액 = 163조8000억원으로 전년 6월(184조4000억원) 대비 20조6000억원이 감소

20대 = 7조5000억원 규모로 전체에서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

40대(59조4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 50대(43조9000억원) > 30대(40조9000억원) > 60세 이상 12조원

 

3. 빚투

돈을 20대를 저축하던 세대에서 빚내는 세대로 변화시킨 구조적 현상의 결과물

또 청년뿐 아니라 고령층의 위기도 주목해야 한다. 노인빈곤율 1위 대한민국이 '준비 안 된 고령화'에 직면하고 있다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 근거

(매일경제) 빚 못 갚고, 적금도 깬다 …'부실 20대' 급증

1. 저소득,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판매하는 대출 상품을 20대 청년층이 가장 많이 애용한다.

2. 서민 전용 대출을 받은 뒤 원리금을 갚지 못해 정부가 대신 갚아준 대위변제율에서도 20대가 1위

=> 가계부채 위험성 커지고 있다.

서민 전용 상품은 시중은행보다 최근 연체율이 상승세인 지방은행이나 저축은행, 상호금융, 인터넷은행 등에서 적극적으로 취급하고 있어 이들 은행은 건전성을 관리하는 데 부담이 커지고 있다.

3.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한 사람이 최초 가입자의 24%에 달한다.

청년희망적금은 2년 만기를 채우면 최대 10% 금리 효과를 얻도록 설계됐고, 정부 최초 예상 수요인 30만명보다 7.6배 많은 290만명이 가입한 상품이다. 하지만 청년들의 주머니 사정이 나빠지면서 결국 해지에 이른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목돈 마련을 위해 설계한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4명 중 1명은 주머니 사정이 어려워 중도해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월 납입금액대별로 중도해지율 편차가 컸다.

월 10만원 미만을 납입한 사람의 중도해지율 = 49.2%

월 10만원 ~ 20만원 미만 납입자의 중도해지율 = 48.1%

월 50만원(납입 한도)을 꽉 채운 청년의 중도해지율 = 14.8%

 

=> 원인?해결?

코로나 사태를 전후로 서민 금융상품에 대한 청년 신청자 증가세가 두드러지면서 덩달아 연체도 늘어났다.

정부의 정책금융상품에 20대 신청자가 많고, 그에 비례해 연체율이 계속 높아지는 추세는 취업난과 관련 있다. 청년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빚 못 갚고, 적금도 깬다 …'부실 20대' 급증 - 매일경제

정부가 대신 빚 갚는 대위변제20대 매년 늘며 전연령대 1위저축銀 취약차주 대출규모도2030 증가폭이 52%로 최대저축못해 청년희망적금 깨기도24% 달하는 68만명 중도해지

www.mk.co.kr

 

 

한국은행, 2023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

https://www.bok.or.kr/portal/bbs/P0000593/view.do?nttId=10077961&menuNo=200068&pageIndex=1 

 

금융안정보고서(2023년 6월) | 금융안정보고서(상세) | 주요 보고서 | 조사 · 연구 | 한국은행 홈페

한국은행법 제96조 제1항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회에 제출하는 거시 금융안정상황에 대한 평가보고서인 금융안정보고서입니다.

www.bok.or.kr


요약 및 의견(스터디용)

용어정리

 

1. 차주 = 대출받은 개인 = 돈을 빌리는 사람

DSR = Debt Service Ratio 총부채상환원리금상환 비율 = 1년간 버는 소득에 비해 빚을 갚은 돈(상환액)이 얼만큼인지

차주단위 DSR = 대출을 빌린 개인의 연 소득에서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 정부가 대출 한도를 규제하는 것

 

2. DSR 규제 = 개인이 갚을 수 있는 정도만 돈을 빌리게 하기

2019년, DSR 1단계 규제 = 총대출액 2억원이 넘는다면, 1년간 갚는 금액이 연 소득의 40%를 넘지 않도록 했다.

2022년 1월, DSR 2단계 규제 = 총대출액 2억원이 넘는다면, 1년간 갚는 금액이 연 소득의 40%를 넘지 않도록 했다.

2022년 7월, DSR 3단계 규제 = 총대출액 1억원만 넘어도 DSR 40% 규제를 받는다. (제1금융권 기준, 제2금융권은 50%)

 

3. DSR 규제 보안책

- 소득이 높지 않은 청년, 생애 처음으로 주택을 사는 사람 대상 주택담보대출 더 많이 받을 수 있음.

- 생활 안정에 필요한 대출 한도 늘어날 수 있음

- 신용대출 한도 늘어남

예. 카카오뱅크 전월세보증금 대출,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비상금 대출

 

'DSR 3단계 규제' 이 글 읽고 걱정 넣어 두세요 (상)

금융생활 가이드

www.kakaobank.com

 

PT예상질문

 


적용할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연관기사 링크

1. 조선일보

고금리·고물가에 빚 못 갚는 청년 증가…연체율 2배 ‘껑충’

홍 의원은 “저금리, 양적완화, 자산가치 상승 황금기의 ‘이지머니’가 20~30 대를 저축하던 세대에서 빚 내는 세대로 변화시켰다”라며 “불안정한 소득 기반에 고금리, 고물가까지 맞물려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홍 의원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신용대출 차주 수와 연체율이 급등한 것도 주목해야 한다”라며 “경제적으로 취약한 청년층과 고령층에 위기 징후가 뚜렷한 만큼 구조적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라고 했다.

 

고금리·고물가에 빚 못 갚는 청년 증가…연체율 2배 ‘껑충’

고금리·고물가에 빚 못 갚는 청년 증가연체율 2배 껑충 20대 연체율 1.4% 30대 연체율 0.3%p 증가 20대·60대 이상에서만 신용대출 차주 늘어

biz.chosun.com

 

2. 매일경제

무모한 '영끌' 20대 빚탕감 규모 폭증…"금리 인상 탓에 리스크 관리 철저히해야"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한 20~30대의 채무조정 규모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더 이상 빚을 갚지 못하겠다며 빚 탕감을 신청한 MZ세대가 대폭 증가했는데요.
특히 대출을 통해 주식에 투자했지만, 투자에 실패해 빚을 갚지 못한 MZ세대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5년 새 급증한 MZ세대의 채무조정 규모
지난해 20~30대의 채무조정 확정자 수가 2018년보다 23.2% 증가했습니다.
채무조정 신청자 수 역시 같은 기간 약 1만 명 늘었습니다.
채무조정 = 신용회복위원회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더 이상 빚을 갚을 능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차주의 대출 원금과 이자를 깎아주는 것

이렇게 빚 탕감 규모가 늘고 있는 가운데, 빚 발생 사유를 살펴보면 '재테크 시도'가 눈에 띕니다.
재테크를 위해 빚을 낸 20대는 지난 5년 동안 14배 폭증했으며, 2~30대를 합쳐도 약 8배 증가했습니다.
특히 빚 연체 발생 사유로는 '주식투자 실패'가 지난해까지 5년 동안 20대는 11배, 30대는 5배 늘었습니다.

유동성 확대 시기에 주식과 코인 등 자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빚투에 뛰어들었지만, 금리가 인상되자 시장이 급락하면서 MZ세대의 빚 연체 규모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지난해 금리 인상이 공격적으로 이뤄진 만큼, 그 여파가 올해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빚 폭탄'이 올해도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돈을 빌리는 개인과 빌려주는 금융기관 모두 위험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무모한

【 앵커멘트 】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한 20~30대의 채무조정 규모가 최고치를 기록했습...

mbnmoney.mbn.co.kr

 

3. YTN

고금리의 카드론까지 손댄 2030

https://www.ytn.co.kr/_ln/0102_202309121415232238

 

카드론·리볼빙 금리 비교 쉽고 자세하게 바뀐다

매달 결제하는 금액 일부를 다음 달로 이월해 갚는 리볼빙...

www.ytn.co.kr

 

댓글